다음에서 수능을 2번 이상 응시를 검토한다는 글이 있어서, 클릭해서 읽어보았다.

http://media.daum.net/society/view.html?cateid=1001&newsid=20091230171730639&p=mk

달리기는 75년생, 94학번으로 수능을 최초이자 마지막으로 2번을 본 세대이다.
갑자기 교육부 차관이 수능을 2번 보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그 말 한마디에, 아직 결정이 나지도 않았지만, 약간의 후폭풍일었었다. (나의 블로그는 항상 한 발 또는 두 발 늦게 포스팅되는 감이 있다.)

일단 주소를 복사해 놓고, 댓글 180개를 한 번 읽어봤다. 찬, 반 양론이 많이 있었다.
어떤 것이 더 좋다라고 말하기는 어려운 사항이다.
나도 시험을 보고, 허탈해 했던 것으로 기억이 난다. 열심히 했다고 하는데, 이건 맨땅에 헤딩....

2번을 보면, 시험지 인쇄, 감독, 문제출제등의 비용문제가 발생할 것 같은데..... 이건 세금 아닌가??
댓글에 나와있는 것처럼, 시험 한 번 보는 것만으로 난리 부르스가 발생되는데, 2번 이상을 보게 되면, 그 사회적인 파장이 얼마나 클까 생각이 든다. 실제 내가 시험 볼 때는 그런 건 눈에 보이지 않았다. 시험지 좀 없어지면 안 되나? 별별 생각만 머리속에서 난무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들의 스트레스는 2배 이상으로 가중될 것으로 생각이 된다.

그러나, 2번 보면, 기회가 많아지니, 노력의 결과로 더 좋은 점수, 페센트를 획득한 학생은 좋겠다.
횟수나 기회를 늘려서, 피해보는 학생을 구제하는 그런 시스템이라고 한다면, 좋겠지만 혹여나, 그게 아니면, 완전 재앙이 되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 어자피 시험을 치는 것은 모든 학생이 동일하게 볼 테니까.

댓글에, 2번 보면, 출제위원 2번 감금에, 학생들은 2번의 스트레스, 격한 경우, 극단의 선택을 할 수 있는 기회제공 등등... 개인적으로 생각할 수 없었던 기발난 글들이 달려있다.
또, 1번의 시험에 모든 인생을 걸 수 없다. 힘들더라도 여러 번 보는 것이 어떤가라는 댓글도 달려있고...
여러 번 시험기회에 응시할 수 있는 기회를 제한하자는 제안도 있었으나, 이거야 말로, 문제제출의 문제와 과연 우리나라 학생들이 응시횟수를 모두 안 사용할 지 의문이기 때문에, 거부감이 많이 들었습니다.

어떤게 옳다는 없겠죠.
지나온 개인적인 입장에서 결론을 내리자면, 학생들은 좀 힘들더라도, 2번의 시험이 안전한 선택이 될 수 있을 것 같고(누가 갇혀서 못 나오던, 그건 생각하지 말고), 문제를 내는 쪽에 부탁은 시험문제 난이도를 좀 일률적으로 내서, 골탕먹는 사람이 없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이제 입시를 친 사촌동생들도 있고, 내년에 고3이 되는 사촌동생들이 나에게는 10여년 전의 기억과 추억을 꺼내들었고, 사촌동생들에게는 악몽이 될 수 있는 한 마디였습니다.

제도를 바꾸려면 좀 검토를 하고 발표를 했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댓글 중에서 아마 오타겠지만, 웃긴 글을 읽었습니다.


에로부터 교육을... 백년 계획으로 실시해야 한다.. 과감한 제안을 하셨습니다.

국사, 역사를 선택과목으로 한다는 그 깜찍한 발상부터 걷어들였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필수과목으로 해도 열심히 공부할까 말까덴 말이죠.ㅋ



Posted by 열심히 달리기

중국하면 떠오르는 것이 넓은 땅과 수많은 사람들이 떠오른다. 우리에게 인해전술이라는 놀라운 전술을 보여준 그대들의 이미지. 그런데, 놀라운 사실을 하나 알게 되었다.
중국이 경제, 정치적으로 세계에 뻗어나가는 것 외에도, 미국에는 이미 강물에 30여년 전부터 침투해서 그들의 생태계를 교란시키고 있다고 함. 그 주인공은 '백련어'라고 함.

백련어(Silver carp)
잉어목 황어아과, 크기: 40-100cm, 최대 1.2m까지 성장
별병: 실버 빅헤드(silver bif head)
식이: 식,동물성 플라크톤

우리나라에도 침투를 했으나, 성공하지 못 했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미국만큼 커다란 강을 가지고 있지 못 하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번식은 암컷이 강의 상류로 올라가서 산란을 하면, 하류로 내려가면서 부화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우리나라는 강이 짧고, 풍부한 수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자연번식이 쉽지 않다고 합니다. 그래서 1963년 양식용으로 수입했으나, 종만 유지되고 있을 정도입니다. 검색을 해보니, 우리나라에서도 몇 번 잡힌 경우가 있던 것 같은데, 그때는 관심이 없어서 패스~했나봅니다.

그럼, 미국에는 30년전에 어떻게 들어갔는지 들여다보면, 역시나 중국에서 1970년대 미국 남부 메기 양식장에 있는 플랑크톤의 개체수를 줄이기 위해서 수입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양식장에만 있지 못 하고, 호우 때, 탈출, 번식을 하게 됩니다. 번식력은 좋아서, 한 번에 200만개의 알을 놓고, 1년에 32Km의 이동이 가능하고, 놀라면 수면 위로 최대 3m나 뛰어오른다고 합니다.

출처: www.asiancarp.org/images.asp



다양한 이동거리와 솟구치는 성질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다치자, 미국에서도 백련어를 없애기 위해 노력을 합니다. 천적을 사용하려고 하나, 마땅한 천적이 없고,무찌를 수 없는 상황에서, 우리나라처럼 먹어치우려고 하였으나, 미국인들은 민물고기를 싫어하는 경우가 많아서 실패.
미주리 강에서 잡히는 2분의 3정도가 백련어이고, 오대호로 진입하려고 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퍼지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러면 왜 백련어가 문제가 되는가는 수생 생태계를 교란시키는데 문제가 제일 심하다고 합니다. 자기 체중의 40%의 플랑크톤을 소비하고, 그 결과, 다른 어종이 먹을거리 부족으로 멸종이 된다는 이야기였다.
마치 미국내 백인이 소수민족으로 변하고, 히스패닉과 흑인이 주민족으로 바뀐다는 기사를 접하는 것과 같은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일단, 자연계에서는 머리수 싸움이 우선일 것 같습니다. 일단 덩어리가 있어야지, 다른 것들은 제압할 수 있을테니까요. 이런 면에서 우리나라의 인구수 감소는 쫌~ 그런 상황인 거죠.

마지막으로 한국일보 지평선 12월 12일 에 나온 백련어에 대한 기사를 마지막으로 마치려고 합니다.


전략..
미시시피강 상류 바로 그 곳이 고향인 블루길 배스 등이 우리나라와 중국에 들어와 생태계를 파괴한 것을 보면 묘한 느낌이 든다. 블루길과 배스가 웨스턴 스타일의 육식동물이고, 백련어가 오리엔탈 스타일의 초식동물인 점도 대조적이다.


웃기는 상황입니다. ^^
Posted by 열심히 달리기

http://tvpot.daum.net/clip/ClipViewByVid.do?vid=tBLRNchkDto$

걸그룹에 그렇게 관심이 없었으나, 잦은 접촉(텔레비젼으로... 직접적이면 더 좋을텐데..ㅋㅋ)으로 관심이 부쩍 늘어나고 있음.

음.. 그럼.. 나도 삼촌팬??

동영상을 끝까지 보니까, 공연을 일부러 꺼꾸로 한 건지? 아니면 양쪽에 관중이 있었던 것인지 헷갈리네요.
공연 때는 반대편을 보고, 끝나고 인사하는 것은 찍은 쪽을 보고...
Posted by 열심히 달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