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드로 대성당을 방문했을 때의 이야기입니다.
95년도에는 단체로 와서 또는 어린 나이에 봐서 그런지 '크다'라는 느낌만 받았는데, 06년에는 홀로 또는 소규모로 가서 시간 제약이 그렇게 크지 않아서 그런지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성당 안에는 정말로 많은 장식과 기도실들이 있었는데, 그런 것들을 다시 머리 속에서 꺼내려면, 가이드북의 도움이 필요할 것 같네요.

여행객의 전형적인 모습을 하고 성당을 이리저리 헤매고 다니고 있었습니다.
물론, 바티칸에 들어갈 때는 기본적인 복장을  해야지 입장이 가능합니다.
아무리 관광지라고 해도, 지킬 것은 지켜야 되는 곳이므로.

성 베드로 성당 통로


보통 때는 저렇게 목책으로 통로에 못 들어가게 해놨습니다.
아마도 교황님께서 이 통로를 걸어가시다가 봉변을 당한 것으로 생각이 되네요.

이리 저리 돌아다니다가 기도실 같은 곳을 발견했습니다.
머리를 쭉 빼서 보려고 하는데, 갑자기 기도실 앞에 서있던 사람이 차렷자세를 하더니 거수경례를 하는 것이 아닙니까? '이건 뭐야'라고 생각하는 동시에 나도 차렷을 하더니 거수경례를 하는 건 또 뭐야??

이런 어색한 동작이 이어진 뒤에 그 사람이 베시시 웃더니, 영어로 한국사람이냐고 물어본 듯....
아마도 이 사람은 대한민국 남자들이 군대를 다녀왔다는 사실을 누군가에게 들었던지? 아니면 누군가 그 사람에게 거수경례를 하면서 가르켜 줬던지 둘 중의 하나일 것이다.

일단 놀란 상황을 정리하고, 그 사람의 복장을 살펴봤다. 이미 그리스에서 한 번 당한 적이 있기 때문에, 일단 경계를 하는 것이 안전하겠다라는 생각이 머리에 항상 박혀있었기 때문이었다.(여행책에 나와있는 이야기를 읽고서, 당하는 사람도 있어?라는 생각을 했었는데, 가서 당했다.ㅡ.ㅡ) 자세히 보니, 검정색 계통의 정장을 입었던 것 같다. 마치 지키는 사람들의 전형적인 복장과 자세같은 모양새.
그렇군. 여기 경비원 중의 하나겠군. 그제서 조금 경계를 풀었다. 이런 저런 이야기를 어설프게 나누고, 웃으면서 기도실 안으로 들어섰다. 중국인들도 역시 관광을 와있었는데. 그들의 목소리는 어찌나 크던지, 뭐라고 하고는 싶었지만 중국어가 안되는 나로서는 그냥 참는 수 밖에. 그러나 역시 월급의 힘은 무서웠나보다. 그 경비원이 와서 중국인에게 조용히 뭐라고 하니까, 중국인들도 조용히 했다. 오.. 뭔가 있군. 속으로 생각이 들었다.

성당을 나와서, 잠깐 생각을 해보니, 참 상황이 우스웠다.
전에도 이런 상황이 한 번 더 있었기 때문이었다. 대학원 다닐 때는 운전을 하지 못 했기 때문에 교수님과 어딜 다닐 때면, 둘이 움직여야 하는 경우에는. 교수님이 운전하고, 조수석에 앉아서 가는 경우가 많았다.
아마 철원에 샘플링하러 가는 날이었을 것이다. 가는 길마다, 부대가 그냥 있다. '정말 많구나'라고 생각했는데,
갑자기 어느 부대 정문에 서있던 위병이 경례를 한다. 앗... 나의 손은 이미 올라가고 말았다. 아.. 설마 교수님은 보신 것 아니겠지.. 정말 무안했던 기억이 있는데... 다시는 그러지 말아야 겠다고 생각했는데.
이런 일을 멀리 타국에서도 또 경험하다니, 스스로 웃기는 일이었다.
사람 경험이라는 것이 무의식 중에 발동되는가 보다. ㅎㅎㅎ

바티칸 용병, 미켈란젤로가 디자인 했다는 옷을 입고 있다.



어저께 뉴스를 보면서 생각난 예전의 바티칸에서의 일이었다.

저돌적인(?) 육탄공격을 경호원이 일단은 막아섰으나, 결국은 밀려서, 교황까지 도착, 같이 물귀신이 된 그 여성.. 경호실은 좀 더 강력한 방어막을 펼치기 위해서, 경호원들을 단련시켜야 겠다. 하긴 엄청난 질량이, 짧은 시간에 엄청난 힘으로 밀고 들어오면 막는 입장에서는 힘들겠지만서도....
Posted by 열심히 달리기

단파라디오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9121133671&sid=01063004&nid=006

참 신기하게, 자기가 조금 알고 있는 것이 나오면, 자꾸 들여다 본다.

초등학교(우리 때는 국민학교였지만.)에서 중학교로 넘어가는 시기에 아버지께서 단파라디오를 하나 사주셨다. 그때까지만 해도, 단파라디오가 뭔지도 모르고 있었는데, 예전에는 단파라디오로 외국방송을 많이 들었다고 설명해주셨다.

어릴 적에는 뭐가 뭔지 모르고, 틀면 세계 각국의 언어가 튀어나오는 라디오가 그저 신기할 뿐이었다.
그리고, 또 시간표에 맞춰서 들어야 했기 때문에, 나름 찾는 맛도 있었다. 우리 국민학교 다니던 80년대에는 인터넷 같은 것은 없었기 때문에..^^;

진동수 또는 주파수 [백과사전에서]
 진동수 [ 振動數, frequency ] 주파수라고도 함. 
 리학에서 단위시간 동안 고정된 점을 통과하는 파의 수.
주기운동을 하는 물체가 단위시간 동안에 수행한 진동의 수를 뜻하기도 한다.
주기운동을 하는 물체는 일련의 연속적인 사건이나 위치를 거쳐서 맨처음의 상태로 돌아왔을 때 1주기 또는 1진동을 수행했다고 말한다.(중략) 진동수는 흔히 19세기 독일의 물리학자인 하인리히 루돌프 헤르츠를 기념해 명명한 Hz(헤르츠)로 표현되는데, 1Hz는 1초당 1주기에 해당한다. 1kHz(킬로헤르츠)는 1,000Hz이며 1MHz(메가헤르츠)는 100만Hz이다. 분광학에서는 진동수의 다른 단위인 파수가 때때로 사용된다.

단파무선통신[ 短波無線通信, shortwave radio ] - 백과사전에서
파장 10~80m, 주파수 약 29.7~3.5㎒의 전자기파를 이용한 정보의 송수신.
1920년대초 무선신호를 지구의 전리층(電離層)에 있는 대전(帶電)된 입자층에 반사시켜 멀리 보내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 실험이 성공하자 1930년대 후반 단파통신이 전세계에 보급되었다. 공영 프로나 상업 프로를 다른 주파수대로 보내는 서유럽·북아메리카·일본 같은 매우 발전된 지역을 빼면 세계의 여러 나라에서 행해지는 뉴스와 대중방송의 대부분이 단파방송이다. 세계적으로 영향력있는 단파방송국에는 베이징라디오방송, 모스크바라디오방송, 영국방송공사, 미국의 소리(VOA)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단파 주파수와 단파기술은 장거리전화 및 전신에 사용되고 있다. 아마추어 무선방송국과 휴대용 송수신기 역시 단파주파수를 사용한다.

무선 통신은 할당된 주파수를 이용해서, 같은 주파수 안에 있는 사람들이 교신하는 것인데, 라디오는 수신만 하는 것이기 때문에 듣기만 했죠. 이에 만족하지 못 한 달리기는 대학시절,아마추어 무선통신(HAM)에 가입해서 활동을 했었습니다.

하여간 단파라디오는 시간표에 맞춰서 주파수만 맞추면, 재미있는 말들이 그냥 쏼라쏼라 나오는 재미있는 장난감이었죠. 그것이 인류의 통신혁명이었는지는 모른체.

갑자기 단파라디오가 생각난 것은 한 개의 기사를 읽고 난 후, 퍼득 떠오른 것이다.
어렴풋이 알고 있는 무선통신의 아버지는 마르코니, 풀네임은 사전에서 찾았는데, 어디있더라.. 그리고, 전화는 벨 아저씨..
마르코니의 묘비를 본 것 같아~ 어디서? 이탈리아의 어디에서... 피렌체인 것 같아.. 산타 크로체.
나의 사랑스러운 도시, 피렌체. 너무 사랑스러워... 산타 크로체에는 수많은 묘비와 묘들이 있다.


이 안에 들어가면 수많은 묘비들과 조각들이 있는데, 찍으면서도, 이 마르코니가 그 마르코니야? 라고 의문은 품었던 일 인.

오늘 보니, 너무나 정확해.. 그런데, 로마에서 세상을 떠나셨는데, 고향인 블로냐도 아닌 이 곳에 묻히셨는지 모르겠다.

요즘에는 인터넷이 많이 발달을 해서, 무선통신을 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있는지는 모르겠으나, 인터넷 망이나, 전화선, 중계기의 고장, 천재지변에 의한 통신 장애시에는 아직도 아마추어 무선이 위력을 발휘한다고 합니다.

기사에서도 나왔듯이, 근래에도 단파라디오를 이용한 소식을 전했다고 하네요.
한 번 접해보면 재미있는 단파라디오. 과거에는 간첩들도 많이 사용했다고 하는데.. 요즘은 이런거 쓰겠어요? 인터넷망과 위성전화까지 있는 마당에. 하지만, 이것도 현재 기술을 있게 만든 원천기술(?)로 생각하고 보존해야 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로마에 있는 '바티칸 라디오 방송국'은 있는지도 몰랐기 때문에 그냥 쳐왔는데, 이 곳도 가보고 싶은 곳에 포함시켜놔야 겠어요. 언제가 로마에 여행갈 기회가 있으면 가보게....

이탈리아라는 나라는 점점 신비롭게 다가오고 있는 것 같습니다.
단파통신에서 마르코니로 빠지더니, 피렌체로 왔다가, 로마로 빠져버린... 이야기.
시작과 끝이 너무나 다르게 되어버렸네요. ㅋㅋ

Posted by 열심히 달리기

2009. 12. 15. 17:03 짧은 생각

숭례문 복원


신문에서 숭례문 복구 총책임자가 뽑혔다고 나왔다.
이게 무슨 말일까? 그럼 여태까지는 무엇을 했을까?? 궁금했다. 인터넷의 바다에 풍덩 뛰어들었더니, 금방 답이 나온다.

숭례문 복구개요(문화재청): http://222.231.57.164:8080/hope/restoration.asp
1단계: 2008년 5월까지, 현장수습
2단계: 2008년 6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발굴조사, 고증 및 설계
3단계: 2010년 1월부터 2012년 12월 공사시행

이제 마지막 3단계로 접어드는 복구시기로 책임자를 뽑았다는 이야기였다.

-총책임자(도편수): 중요무형문화제 제 74호 대목장 기능보유자 신응수 씨
-단청: 중요무형문화제 제48호 단청장 홍창원 씨
-석공: 중요무형문화재 제120호 석장 이재순(석조각), 이의상(석구조물)씨
-번와: 중요무형문화재 제121호 번와장 이근복 씨 (번와: 기와를 덮는 일)
-제와: 중요무형문화재 제91호 제와장 한형준 씨 (제와: 기와를 만드는 일)

숭례문 관련 블로그에 들어가보고, 문화재청 싸이트에 들어가서 글을 읽어보니, 진척이 어느 정도 이뤄졌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복원하는데 있어서, 일정에 쫒겨서 하지말고, 정확하고, 안전하게 복원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이 된다.

국보 1호 숭례문이 다시 온전하게 서길 바란다.
Posted by 열심히 달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