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렸을 적에는 골드타임이라고 불리는 시간에는 외화가 많이 방영되고는 했었다. 많은 드라마를 보았지만, 뭘 봤냐고 물어보면 대답할 수 있는 작품들은 몇 편 없다. 지금 당장 생각나는 것들은 '제5전선', 'A특공대', '에어울프', '맥가이버', 'V', '비버리힐즈 90210', '전격Z작전', 또 뭐가 있을까... 기억 저편에 저장되어있지만, 꺼내지 못 하는 것들도 있을 것이다. 요즘은 워낙 케이블이 많아서 외화도 많이 수입되기는 하지만... 예전에는 공중파에서 해주는 것이 전부였다.
이 이야기는 시기가 크게 3부분으로 나뉘게 되는데,
1단계
TV를 보면서, 내용과 오프닝 테마곡이 좋다라고 느끼는 것
2단계
영화 '미션:임파서블'이 나오면서, 제5전선이 미션:임파서블과 같은 거라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OST를 구입했다. 그러면서 왜 '제5전선'이라는 제목이 붙었을까라는 생각을 하게됐다. 배경지식이 없는 관계로 임의로, 주인공이 다섯 명이니까 전선이 5개 펼쳐지기 때문에 그럴까? 정도로 끝냈다.
3단계
소설 007 카지노로얄을 읽으면서, 왜 '제5전선'이 붙었는지 이해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이 내용에도 스페인 내전이 엮여있음을 알게되었다.
"제5전선"은 스페인 내전에서 나왔다.... 그러므로 TV시리즈에 그 이름을 붙인 담당자는 최소한 스페인내전을 알고있는 사람이었나보다. 또 한 번 느끼는 거지만, 아는 만큼 보인다는 것이다. ㅎ
책에서 본 내용을 옮기자면,
제5열, 일반적으로 적국 내에서 각종 모략활동을 하는 조직적인 무력집단이나 요원. 일반적으로 스파이라고 불리는 집단 또는 사람들이라고 하겠다. 그래서 '제5전선'이라고 붙었구나... ㅎ
근 20여년 만에 풀어지는 궁금증이었다. 얼마나 신기하던지... 그래서 덕분에 미션:임파서블을 찾아봤다.
TV시리즈는 1963년부터 1973년까지 나온 것과 1988년부터 1990년까지 나온 시리즈가 2가지가 있다고 했다. 인터넷 검색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이 든다.
마지막으로 각 시리즈 오프닝을 소개하면서 마치도록 할까 한다. 1963-1973
1988-1990
제5전선 = 세작 = 스파이 = 간첩
IMF(Impossible Mission Force) team 은 결국 스파이조직... 뭐... 007 역시 다르지 않으니까. ㅎ 내 007 카지노 로얄은 끝까지 읽어보겠다. ㅎ
비도 오겠다. 일을 빨리 접고서, 금요일 저녁 일탈을 감행했다. 아침까지만 해도 이런 일이 벌어질꺼라고는 예상을 못 했기 때문에, 회원카드도 안 챙겼었다. 전화로 문의하고 사격장으로 직행.
아침에는 비가 온 관계로 신발은 샌달을, 바지는 반바지를 입고, 긴 우산을 질질 끌면서 지하철을 타고 명동으로 갔다. 아주 개성이 강한 복장이었을 것이다. 남들이 보기엔. 하지만 돌아다니면서, 난 땀을 뻘뻘 흘리면서, 윗도리를 반을 젖혔다.
29번째 사격. 한동안 뜸하다가 다시 사격을 하고 싶은 맘이 커졌다. 이번에도 총은 38구경 6인치 루거. 거리는 처음부터 15미터를 놓고 쐈다.
상탄이다. 저번에는 우상탄이 났었는데... 총이 같은지 물어봤다. 총은 여러 자루란다... 아마 저번 총과는 다른 총을 사용한 듯 하다. 하지만, 탄착군이 형성된 것을 보니, 그리 나쁘지는 않다. 아쉽다면 10점에 들어간 거랑, 왼쪽으로 약간 쏠린 9점짜리. 그것만 한 곳으로 더 모였으면 좋았을 뻔 했다. 오히려 91점보다는 90점이 더 좋은 사격이 될 뻔했다.ㅋㅋㅋ
요즘, 007 시리즈의 시작인 '카지노 로얄'과 우리나라에서는 '더불 타켓'이라는 영화로 개봉한 원작소설인 '탄착점'이라는 소설을 번갈아 가면서 읽으려고 한다. 이 두 권은 저번 주 강남역 알라딘 중고서점에서 구입을 했다. 탄착점은 꽤 두께가 있는 소설인데, 왠지 끌려서 샀다. 읽는데 시간이 걸릴 것은 알면서도. ㅎ
무력침투 뿐만이 아니라 문화침투도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이 되는 것은 달리기의 경우. 만화와 무협지를 통해서 나온다. 매우 한정적이기는 하지만, 쳇바퀴 돌듯이 생활을 하다가도 '툭툭' 나오곤 한다.
미국에서는 이제는 인쇄매체로 나오지 않는다는 뉴스위크. 한국판은 잡자형태로 나온다. 대학 다닐 때의 가격은 잘 기억이 나지는 않지만, 현재는 한 부에 4000원한다. 일주일에 한 권씩 나오는데, 사실 한 권을 제대로 읽은 적은 별로 없다. 그리고는 쌓아놓는다. 얇아서 쌓아도 그리 크게 부피도 차지않는다. 그러다 최신호를 봤다. 이제는 저번 주가 됐지만... 표지에 나와있는 날짜는 2013년 8월 26일이라고 나왔는데... 저번 주에 왔다. 1090호. 일 년을 52주로 봤을 때, 20년 정도의 역사가 되겠다.
하여간 잡지 속에서 소년병 이야기를 접했을 때, 난 항상 만화 '시티 헌터'가 떠오른다. 시티 헌터가 만화 속에서 자신은 소년병 출신이라고 고백하기 때문이다. 그 소년병 이야기를 뉴스위크에서 접했다. 소년병 이야기는 대학 때 교양시간에서도 접해봤었다. 지금도 나오는지는 모르지만, 지오(GEO)라는 잡지에서도 내전을 다뤘었다.
이번 뉴스위크에서는 "참혹했던 내전의 아물지 않는 상흔: When Liberian Child Soldiers Grow Up" 이란 제목이었다.
라이베리아라는 서아프리카 나라의 소년병 이야기다. 하지만 라이베리아는 시에라리온, 코트디부아르라는 나라와는 뗄 수 없는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국경도 국경이지만, 반군 활동도 서로 도왔고, 원인도 자원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이 된다.
세계의 분쟁: 지도로 보는 지구촌의 분쟁과 갈등, 푸른길, 구동회, 이정록, 노혜정, 임수진 지음. 203쪽
아.. 먼저 이 글을 쓰기 전에 고백 하나 하건데, 나에겐 큰 트라우마가 하나 있다. 누가 써놓은 댓글 하나이다. "신문 쪼가리 읽고 다 아는 척 한다고..." 그렇게 느꼈나보다. 그런데.. 그 댓글 단 사람은 얼마나 아는 사람이었을까라는 궁금증도 생겼다. 난 이쪽 전공자는 아니니까, 개인적인 의견으로 읽어줬으면 좋겠다. 전공자였다면, 상대방을 이해시켰으면 좋았을 것이고, 아니었다면 좀 더 정중하게 의견을 전달해야 했을 것이다. 한동안 글 쓰는 것이 고민스러웠다. 험악한 댓글과 비판에 접할까봐. 그런데, 그런 일이 있고 난 후에 더 재미있는 것은 더 자세하게 알아보게 되는 습관이 생긴 것이다. 물론 스마트폰 게임의 영향으로 인해서 포스팅이 줄어든 것도 있지만....
다시 읽다보니, 아프리카에 위치한 나라지만, 그 시작은 라이베리아는 미국에서 해방된 노예출신들이, 시에라리온은 영국에서 해방된 노예출신들이 세운 나라였다. 아프리카에서 다른 나라로 갔다가, 후손이 다시 돌아와서 세운 나라였던 것이다. 이것도 특권층을 이뤄서 토착원주민과 차별을 두다보니 그것이 쿠테타로 발전하고, 내전이 끊이지 않게 되는 역사가 반복이 된다.
라이베리아의 수도는 먼로비아. 그 이름은 미국 대통령이었던 제임스 먼로에서 따왔다고 했다. 그만큼 라이베리아는 미국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아메리코라이베이안(미국에서 이주해 온 해방노예)들이 인구의 3%를 차지하면서, 특권층으로 도심지에서 교육 받으며, 내륙에서 농업에 종사하는 원주민을 지배하는 구조를 이뤘다. 이런 구조로 인해서 원주민들이 불만이 많았나보다.
독재자라고 불리는 사무엘 도에 장군이 쿠테타를 일으켜 1980년 처음으로 원주민 출신 정권을 세운다. 그러나 크란족 출신으로 1985년 총선거 이후로, 크란족 편애정책이 심화되자 1988년 정부전복미수사건이 발생하고, 크란족은 기오족과 마노족을 학살하고, 거기에 반발한 세력들이 라이베리아국민애국전선(NPFL)이라는 단체를 설립하고, 1989년 내전이 발발하게 된다.1990년 수도 먼로비아(몬로비아) 침공, 8월에 국민통합임시정부가 발족되나, 9월 도에 대통령이 살해당함으로써 내전은 격화되고, 1997년 정전을 합의, 8월 대통령 선거에서 반군측 테일러 의장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라이베리아의 내전은 코트디부아르와 리비아의 지원을 받았다고 했다. 그리고 테일러는 옆 나라인 시에라리온에 91년부터 2002년까지 내전을 지원했고, 현재는 시에라리온 특별법정에서 전쟁범죄로 기소되어 징역 50년형을 선고했고, 2013년 9월 테일러의 항소에 최종판결을 내릴 예정이라고 나와있다. 한 가지 궁금한 것은 테일러의 출신은 무엇일지가 궁금했다. 크란족은 아닐 것 같고, 아메리코라이베리안이었을까??
옆동네인 시에라리온 이야기를 보면, 블러드 다이아몬드(blood diamond), 블러드 초코렛(blood chocolate)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현재 많이 나오는 공정무역과 관계가 있겠다. 시에라리온 10년 내전은 라이베리아 찰스 테일러의 지원하에 포데이 산코가 혁명연합전선(RUF,Revolutionary United Front)라는 조직을 만들어서 시작하게된다. 10년간 20만명 사망, 25만명 여성유린, 7천명 소년병 양성, 4천명 사지절단, 인구의 1/3인 200만명 난민이 발생했다고 한다.
20세기 가장 잔혹했던 전쟁으로 알려졌다고 하는데.... 과연 진짜라는 의문이 생긴다. 1차,2차 세계대전,스페인내전,6.25, 베트남전쟁, 그 이후..... 각 전쟁을 소개할 때마다 앞에 붙는 수식어가 이 말인 것 같아서... 외국에서 우리 6.25를 보면 어떻게 생각할지도 또 생각해봤다. 이건 외국인에게 물어봐야겠다. 우라기 다른 나라를 보듯이 그들도, 남과 북의 3년간 전쟁으로 볼 것인지, 국제전으로 볼 것인지 궁금하다.
시에라리온 내전의 주인공인 포데이 산코는 2000년에 체포되어 전범재판중 지병으로 2003년 죽었다고 하고, 라이베리아의 전 대통령이자, 반군지도자이자, 내전 지원자이기도 한 찰스 테일러는 2007년에 전범재판이 시작되었고, 앞에서도 썼듯이 2012년 국제 형사 사법기구인 시에라리온 특별법정(SCSL)에서 전쟁범죄로 기소된 찰스 테일러에게 징역 50년형을 선고했고, 2013년 9월 특별법정은 테일러의 항소에 최종판결을 예정하고 있다고 한다.
풍부한 자원 때문과 부족간 권력투쟁으로 일어난 내전을 겪은 소년병이었던 이야기가 펼쳐졌다.
뉴스위크 한국판 2013년 8월 26일(1090호)
글을 읽다가 와닿는 문구는 "실제로 지금이 아주 중요한 시점이다." 이다. 과거를 지나, 미래로 이어지는 현실이 중요하다는 것이었다. 난 이것을 읽고서, 우리나라는 어려운 과정을 거치면서도 발전을 해왔구나라고 생각했다. 그러면서 '우리도 다이아몬드나 기름 같은 자원이 풍부했다면?'이란 가정도 해보기도 했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으니까... ㅎ ^^;
60여년 전 우리나라에서 벌어진 전쟁에서도 소년병은 존재했다고 하는데, 그동안 인정되지 않았다. 우리의 소년병, 소녀병들은 지난 60여년을 어떻게 지냈을까라는 의문도 생겼다.
전문이 궁금한 사람들은 도서관에서 읽어보면 되겠다. 온라인은 비용을 지불해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 번은 읽어볼 만 하다. 그리고 밑에 참고로 쓴 도서도.... 도서관에서 한 번쯤은 보면 재미있겠다.
내전이나 전쟁에 참여한 사람들이 과거와 미래 사이에 갇혀 고통을 겪나보다... 시티헌터에서도 과거를 회상하는 장면에서는 괴로워하는 장면이 곳곳에서 보였다. 여기서는 쓰기에는 여러 가혹행위들이 내전 중에 자행되었기 때문이다. 글을 읽어보면 좀 섬뜩한 것도 있다... 글로 쓰기에... 헉.....
내전이 끝났다고 하지만, 아직까지는 사회안정이 안 된 것처럼 보이는 라이베리아에서 소년병 출신들은 남과 여로 갈려 아직도 현실에서 싸우고 있는 것 같았다.
우리나라와는 달리 다이아몬드와 같은 자원이 풍부하기 때문에 제대로 된 방향으로 발전한다면, 마지막 블루오션으로 뜨겠지만, 그렇지 않는다면, 여전히 혼돈이 가득한 땅으로 남을 것 같다.
근접전투를 경험했다는 주인공은 내가 볼 때는 전투를 경험했기에 보통 사람은 아닐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대한민국의 보통 남자들이 훈련하는 것 이상의 경험이 쌓여있는 이런 사람들이 사회혼란이나 필요에 의해서 용병으로 진출하는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도 든다. 그러고 보면, 총기의 제한이 있는 대한민국은 그나마 안전하다고 생각이 되었다. 뉴스위크 안에 나와있는 사진에서 토요타 트럭에 앉아서 무반동총과 ak47를 들고 있는 애들을 봤을 때.. 참.. 놀라웠다. 저게 영화가 아닌 현실이라는 것이.
하지만... 아직 사실여부는 가려지지 않았지만, 우리도 그러지 말라는 법은 없다. ㅡ.ㅡ; 물질적으로 많이 발달한 대한민국이지만, 정치적으로는 불안정한 나라라고 생각된다. 다수가 인정하는 체제를 인정하지 않고, 그것을 뒤집으려고 하는 의도를 가지고 활동을 하는 것을 보면 말이다. 그런 활동을 하려면, 동조세력이 있겠다. 해방되고, 전쟁이 끝난 지 60년이 지났는데도, 아직도 이런 분위기인데... 60년 전의 혼돈의 시기는 어땠을지 상상이 안 간다. 정말 숨도 조심조심 쉬었어야 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마지막 히든카드인지 쪽박인지는 모르겠지만, 적법한 절차에 따른 결과를 지켜봐야겠다. 우리 사회에 적응 못 한 과거와 미래에서 허우적대고 있는 "우리나라의 마지막 소년병들"인지 아닌지... 마지막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서도. ㅎ
아.. 아프리카 소년병 이야기를 보고, 만화와 우리나라의 과거와 현재가 보인다. 좀 엉뚱한 결론을 내려보자면, 우리 한민족은 참 대단한 민족이라는 결론을 내려본다. ㅋ 자원도 없는 이 땅에 사람 하나 믿고서 우뚝선 것이.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너무 한 쪽으로 쏠리지 않고, 발전해간다면 괜챦은 나라가 될 것으로 보인다. ㅎ
과거 20여년 전에 어떤 외국인들이 한글을 적극적으로 배우려고 했고, 가요를 능숙하게 불렀는지를 생각해보면, 지금 우리의 위상은 알게 모르게 꾸준하게 올라왔다. 앞으로 이렇게 나가면 우리 사회 속의 "소년병"들은 갈등을 없애고, 사회 발전에 그 열정을 보탤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라이베리아 1821년 메수라도 곶. 미국해방노예들의 이민지역 1833년 자유라이베리아연방으로 명명 1847년 아프리카 최초로 공화국으로 독립
◆아메리코라이베리안(미국에서 이주해 온 해방노예) -인구의 3%. 특권층 형성, 원주민을 지배하는 구도 -도시지역 거주, 수준 높은 교육
◆원주민 - 내륙지역 - 농업에 종사 - 문맹율 높음
1980년 원주민 출신, 크란족인 사무엘 도에 장군이 쿠테타를 일으킴. 처음으로 원주민 정권 성림함. 1985년 총선거로 도에 장군 대통령이 됨. 크란족 편애 정책 1988년 정부전복미수사건 2차례 발생 크란족이 기오족, 마노족을 학살함. 이에 기오족과 마노족이 밀려난 아메리코라이베리안 세력과 연합해서 라이베리아국민애국전선(NPFL)결성 1989년 내전발발 1990년 수도 몬로비아(먼로비아) 침공 1990년 8월 국민통합임시정부 발족 1990년 9월 도에 대통령 살해
도에측 라이베리아민주통일해방운동 (ULIMO)
↔
라이베리아국민애국전선(NPFL) 라이베리아독립국민애국전선(INPFL)
1997년 정전합의 1997년 8월 대통령 선거 NPFL 테일러 의장. 대통령 선출
내전배경: 부족간 권력투쟁, 풍부한 자원의 이권: 철광석, 다이아몬드
시에라리온
-서양사에 유럽인들의 아프리카 약탈기지로 등장 -"사자(lion)의 산과 들"이란 뜻: 1462년 포루투갈인들이 처음 프리타운에 왔을 때, 겪었던 폭풍우가 마치 사자울음소리와 같았다는데서 비롯. -영국에서 해방된 노예가 세운 국가 -1961년 영국에서 독립 -면적: 7만 2천 Km2, 인구 644만(2009년) -인구구성 템네족 30% 멘네족 30% 기타 아프리카민족 30% 크리올(creole, 유럽인+현지인 혼혈) 10% -종교: 이슬람 60% 기독교 10% 토착종교 30%
1787년 영국에서 이송된 351면 북아메리카 해방노예와 60명 백인여성 1792년 캐나다 노바스코샤에서 온 약 1100명 해방노예가 이주 -> 프리타운 형성 1850년까지 해방노예수 약 75000명 1896년 영국. 내륙지방을 보호령으로 선언. 템네족과 멘데족이 반란 일으킴. 반란 진압 후, 크리올인도 차별과 억압을 받기 시작 1920년대 민족주의 운동 일어남. 2차 세계대전 이후, 노동조합을 중심으로 자주 독립을 지향함.
1961년 4우러 27일 영국으로부터 독립 (중략) 1985년 조지프 사이두 모모 장군. 정권 이양 1991년 포데이 산코가 반란.(RUF) <- 라이베리아국민애국전선 조직원들이 게릴라조직 구성 1994년 군부쿠테타로 물러남 1999년 로메로(로메) 평화협정 2000년 5월 혁명연합전선(RUF,Revolutionay United Front)이 유엔 시에라리온 파견단 500명을 인질로 잡는 사건발생 2000년 5월 8일 포데이 산코 체포
2003년 포데이 산코 재판중 사망
2007년 6월 라이베리아 전 대통령 찰스 테일러 전범재판시작
2012년 5월 국제형사사법기구인 시에라리온특별법정(SCSL) : 전쟁범죄로 기소된 찰스 테일러에게 징역 50년형을 선고
2013년 9월 SCSL은 테일러의 항소에 최종판결 예정 찰스 테일러: 1991년-2001년까지 시에라리온 내전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