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폰을 쓰다보다 보면, 다양한 앱들을 만난다. 다 쓰는 것은 아니지만, 유용하게 쓰는 것들도 꽤 있다.
제일 유용(?)하게 쓰는 것은 오락이고, 다음으로는 SNS계정들, 그리고 필요한 등등등 이겠다.

그 중에 하나인 '스마트 헌혈' 앱이 있는데, 과거 헌혈기록 확인뿐만 아니라, 헌혈의 집 위치 확인, 이벤트 그리고 제일 획기적이라고 생각되는 전자문진이 가능하다.

저번 주 잠실역 헌혈의 집에 갔을 때, 아주 유용하게 사용했는데, 광장을 수리중이라 옮긴 비좁은 곳에서 서서 문진을 하지 않고, 편하게 앉아서 문진을 완성할 수 있었다.

예전에도 기록을 확인하다가 봤지만, 10년전 기록까지 나오는 관계로 이제는 맨 아래쪽으로 내려가버린, Zoo002 극장이 생각이 났다.

 


이제는 10년 전 이야기가 되어버린 Zoo002
이 극장은 동아극장을 한 영화감독이 인수해서 운영하면서 이름을 바꾼 것이었다. 왜 기억이 선명한가하면, 이 동아극장은 명절만 되면 항상 성룡의 영화를 상영하던 극장이었다. 여기서 나는 성룡의 영화를 아주 많이 봤다. 이번 주 해피투게더에서 박명수가 얘기했던, 성룡이 부자가 되는데 일조했던 것이었다. ㅎㅎㅎ 그게 새발의 피던 하여간.... 그래서? 저번주 일요일에 받은 영화표를 "폴리스 스토리 2014"를 보는데 쓸까 생각중이다. ㅎ

그런데 극장을 한 영화감독이 인수를 했다. 당시 기억으로는 영화를 잘 아는 감독이 이끄는 극장을 만들어 보겠다고 한 것 같다.
정확히 언제인지 모르겠다. 그런데 2004년 2월 3일 이후인 것은 확실하다. 그때는 극장 앞에 헌혈버스가 있었고, 아마도 도서상품권 아니면 극장표를 주지 않았을까 생각이 든다.
아마 이렇게 흘러가지 않았을까? 헌혈을 하고, 간식을 먹고, 기념품을 받아서, 영화표를 끊고, 1층에 있는 오락실에서 오락을 하다가, 영화를 보고 돌아오는... 정확하지는 않지만 이렇게 될 것 같다.

없어진 Zoo002 자리에는 커다란 빌딩이 들어섰고, CGV 극장이 들어와있다. 그리고 그 맞은편에는 헌혈버스 대신에 헌혈의 집이 위치하고 있다.
10년간 이렇게 변한 것이다. 날마다 쓴 일기는 아니지만, 문득문득 남겨진 것들 속에서 옛 모습들을 떠올려본다.

전혈만 한다면 200회를 하기 위해서는 58회 * 2개월은 116개월. 꼬박꼬박 해야 10년.
앞으로 10년 후에는 어떤 모습을 그리게 될 지 생각해본다. 그러기 위해서는 중년의 건강관리가 필요할 것 같다. 처음으로 받아본 건강보험공단 간단검사에서 나도 알고 누구도 알 수 있는 비만이 나왔다. 비만은 만병의 근원이라는데.. 이것의 영향이었을까? 간수치도 하나가 높게 나왔는데. 이건 그때 컨디션에 따라 나왔을 것으로 생각한다. 매번 혈액검사에서는 정상수치였는데, 검사할 때만 약간 높았다는 건... 별 유의성이 없어 보이기 때문이다. 그보다 10여년 헌혈하면서 쌓인 데이타가 더 정확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결론은 이제는 중년이 됐구나. 몸관리는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동아극장-Zoo002-CGV. 뭐 이제는 없어질 거라고는 생각이 되지는 않지만. 10년 뒤에 한 번 보자.
시티극장-롯데 시네마로 바꿨고, 저.. 알라빌딩에 있는 시너스도 메가박스로 바뀌고... 바뀌고 바뀌니까...
내가 외계에서 온 사람은 아니지만, 가끔 한 번씩 나가서 휘휘 둘러봐야겠다. ㅋㅋ

각자 살고 있는 동네의 변화를 눈여겨 보는 것도 재미있을 듯....

Posted by 열심히 달리기

2010년 전쟁발발 60주년
2013년 휴전6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다양한 행사가 열렸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리고 인천상륙작전 같은 경우는 매년 기념행사가 열리는 것으로 알고있다. 틀릴 수도 있지만. 예전에 중앙청이 있을 때는 서울수복 태극기 게양식도 했었습니다.

종이신문의 최대 장점이라고 하면, 관심있는 것을 잘라놓고, 잘 보관하면 쉽게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잘라놓고 어디에다가 놓았는지 모르면 찾을 수 없지만... 이번 지평리 같은 경우는 책 사이에 꽂아놓은 덕분에 쉽게 볼 수 있었습니다. 검색을 통하지 않고도 곧바로 알 수 있었습니다.

저번 필리핀 참전 기념비를 1탄으로 해서(아직 포스팅도 하지는 않았지만.... 사진도 행불... 어딘가에 저장이 되어있을 것 같은데...), 오늘은 1월 29일에 다녀온 지평리 지구전투 전적비와 지평양조장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2014년 1월 29일 일요일
지평리로 출발합니다. 지평리에 대한 호기심은 2010년 신문을 보면서 갖게 되었습니다. 그곳이 어떤 곳인지 궁금하다.
하지만 그 호기심은 행동으로는 옮겨지지 않은채 묻혔고, 2013년도까지 묻혀있었습니다. 그러다가 2013년도에 다시 한 번 언급이 되면서 궁금해졌습니다. 과연 어떤 곳이길래 이렇게 언급이 되는걸까?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 지평리 382-1


한국전쟁사 부도(육군사관학교,황금알 출판사)에 나와있는 그 당시 지도. 일단 여기서 지평리를 찾아볼까요?
못 찾겠으면 패스... 답은 읽다보면 나옵니다.

길 건너편에서 본 전적비의 모습입니다. 지금 기념관 공사 때문에 자재들과 콘테이너들이 늘어서 있습니다.
1월의 바람은 매우 차가웠습니다. 지평리 사람들은 정말로 이 분들에게 예우를 잘 해주는 것 같습니다.
다른 블로그를 봐도 단체가 바꿔가면서 저렇게 문구를 붙여줍니다.

양평이 을미의병의 발원지라는 것은 이 사업안내판을 보고서 알았습니다.
그리고 이 글을 쓰기 위해 본 블로그에서 확인한 바로는 이 옆에 을미의병 기념비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저는 못 보고 왔습니다.무식이 죄지요. ㅎㅎ

플랜카드를 지나가면 표지판이 나옵니다. 지평지구 전투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해줍니다.

계산을 올라갑니다.

올라가면 좌, 우 기념비와 국기게양대가 있고, 전적비로 올라가는 계단이 또 있습니다.


좌측 프랑스군 참천충혼비, 우측 미군참전충혼비


올라가면 소박한 지평지구 전투전적비가 서 있습니다.


전적비를 보고 뒤로 돌아서면 이런 광경이 펼쳐집니다. 지평리를 산들이 둘러싸고 있다고,,,
그리고 이따 붙일 신문에서 나타난 공터가 저 아래일겁니다. 저 곳에서 백병전이 펼쳐졌다고 생각하면, 평화로운 저 곳도 60년 전에는 살기등등한 곳이었겠구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프랑스군은 1개 대대 참전해서, 백병전을 했는데, 전사자가 이 정도 밖에 안 되니 전투력은 어마어마 했나봅니다. 착검하고 백병전했다고 하는데..


아래 지도는 "6.25전쟁 60대 전투" 중에서 사용한 사진.
예비대를 두기 위해서 고지를 버리고 원형진지를 만들어서, 고립이 될 부대를 만들지 않았다고.
책을 읽어보면 이때도 벌써 지평리는 본대와는 20킬로미터 떨어져서 존재했기에 똘똘 뭉칠 수 밖에 없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평리가 어디에 있는지에 대한 정답은 아래 지도에... 그런데... 파란색 원으로 표시해서 잘 안 보일 수도 있겠습니다. ㅎㅎㅎ ^^;

동아일보 2010년 6월 1일 http://news.donga.com/3/all/20100601/28756882/1

중앙일보 2010년 5월 27일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4199507

중앙일보 2010년 5월 13일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4168886


아마 신문은 링크를 해서 보는 것이 나을 것 같네요. 눈으로 신문을 보는 거랑, 사진으로 보는 거랑은 차이가 있네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음 블로그에서 찾은 지평리지구전투 전적비 방문기를 소개하고 끝내렵니다.
(http://blog.daum.net/adol2751/359:링크클릭) 이 블로그에 가서 보면, 지평리 전투가 가지고 있는 의미를 잘 소개해놨습니다. 그리고 을미의병 기념비도 볼 수 있습니다. 반드시 들러서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신문하고 이 블로그만 읽어도 어느 정도 내용은 파악할 수 있을 듯 합니다.

다음에는 지평양조장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Posted by 열심히 달리기

예전글: 2013/12/24 - [짧은 생각] - 일요일, 자동차 오리엔티어링.

12월 22일 일요일. 처음으로 방문한 곳이었다.
어릴 적 맨날 표지판을 보면서, 저기는 어딜까라는 궁금증을 가지고 있었으나, 직접적으로 가보겠다라는 의지가 없었던 관계로 흔히 하는 인터넷 검색도 하지 않았던 곳이었다. 하지만 운전을 하다가 만나니 매우 궁금해져서, 지나쳤다가 돌아갔다.

이 묘는 장군이 죽고 난 다음에 만들어졌으니까, 900년 정도 된 오래된 묘겠다. 이장을 하지 않았다는 전제하에.
그럼 앞에 있는 나무는 궁금해서 찍어온 사진을 보니, 나무는 320년이 되었다. 그래도 320년이면 꽤 오래된 나무네...

Posted by 열심히 달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