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 잦은 외출이다.
다음 주가 아이의 돌잔치가 있는 날이다. 양쪽 부모님과 형제들만 모시고, 조용한 돌잔치를 하려고 한다. 어렸을 적 사진을 봐도, 집에서 가족들만 모여서 조촐하게 했던 것 같은데, 얼마 전부터는 많은 사람들을 초대해서 돌잔치를 하는 것 같았다. 글쎄.. 많은 사람들이 와서 우리 아가의 첫 생일을 축하해 주는 것도 좋을 것 같긴 하지만. 요즘은 초대하는 사람도, 초대받은 사람도 오른 금값으로 부담스럽기는 마찬가지라고 한다.
하여간 준비차 밖으로 나왔다가 들렸다. 사격장~~
와이프는 내가 총 쏘는 것을 이해해준다. 현재 내 유일한 스트레스 해소 오락이라고 인정해준 것이다.
그것치고는 굉장히 빨리 끝나고, 원점(!)으로 돌아온다는 장점이 와이프에게는 있는 것이다.
빨리 달리기를 하고는 싶으나, 어기적저기적 거리는....

17번째 사격, 총은 38구경, 총신(?) 6인칭, 거리는 15미터.
아침이 아닌 낮에 가서 그런지, 사대에 나 말고도 2명이 더 있었다. 거리는 동일하게 15미터.
개인적으로 너무 총을 오래 잡고 있으면, 호흡불량으로 잘 안 맞는 경향이 있어서, 될 수 있으면 빨리 쏘는 편인데. 옆 사로의 두 남녀는 커플인지, 한 발 한 발 너무 신중하게 쏘는 것 같았다. 그렇다고 내가 조준을 안 하고 무조건 쏘는 것은 아니다. 한 발에 2000원이면 신중하게 될 수 밖에 없다.

총 100/90점. 그래도 가운데로 몰린 편이다. 2시방향 7점, 5시방향 8점을 제외하고는 9점, 10점에 들어갔다. 다음 번에는 언제 가게 될 지는 모르겠으나, 좀 더 정교하게 과녁에 집어넣었으면 좋겠다.
Posted by 열심히 달리기
완전 어이 없는 동영상을 하나 접했습니다.
지금쯤이면 프로야구 올스타전이 시작했을 시간인데, 이 글을 쓰고 있습니다.
동영상 시청하시고, 1분이면 충분..합니다.

 

아... 군대가 사람을 죽이는 것을 배우는 곳이라니요
.(완전 틀린 말은 아니지만.)
안 가봤으니, 이런 말이 나왔겠지요. 가서 사람 죽이는 것을 배우는 것은 사격하고 총검술 정도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자기 주특기에 따라서는 포병, 미사일, 기타 등등 가공할 만한 화력을 보이는 것도 있겠지만..서도...

가서 단지 죽이는 것만 배워가지고 나온다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이야기인 것 같습니다.

일단, 물난리, 산사태가 나면 동원되는 것이 누구인지 생각해보면, 죽이는 기술을 가진 군인입니다.
그래 그 기술로 신나게 물난리, 산사태 난 데 가서 사람을 죽입니까? 살립니까?
이런 세세한 예까지 들어가면서 설명하자니, 구차해집니다.

26개월, 나름 국가의 부름에 응했다고 생각했고, 해줬으니, 해달라고 요구할 만하고.
세금 꼬박꼬박 잘 내고있는데, 아.. 예비군 8년하고, 민방위도 4년 채웠구나...

새삼 이런 이야기를 들으면, 자괴감이 생깁니다. 정말 꽃다운 21,22,23살을 군대에 갔다왔는데,
뭐 보듯이 하고, 그런 말 한다고, 지가 뭐 해주는 것도 아니면서, 고등학생들한테 세뇌교육 시키는 것도 아니고, 아마 그걸 들은 남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할려나 모르겠네요. 자신들의 몇 년 뒤의 미래가 그런 비하되는 신세가 될 것이라는 사실에...

그래서 달리기는 EBS 시청자 센터에 전화해서 항의했습니다.
조치사항은 핸드폰으로 연락준다고 하더군요. 아무리 대상이 학생이라고 하더라도, 공중파라는 매체에서 이런 발언을 했다는 것이 참... 당황스럽습니다.

이 일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 나가는지 유의깊게 지켜봐야겠습니다.
Posted by 열심히 달리기
사실 달리기는 비행기를 탈 일이 없다. 여행을 가지 않는 한.
그런데, 마일리지를 모으고 있다. 지금 생각해 보면, 미련한 짓을 시작한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
비행기를 많이 타지도 않는데, 그냥 여행갈 때 저가항공이나 외국계 항공사를 저렴하게 이용하는 것이 더 낫지 않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이미 마일리지를 모으기 시작했다. 그래서 결정은 좌석승급이나 가까운 일본을 다녀올 때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그런데, 언제 사용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 언제쯤 사용할 수 있을까? ^^

읽은 기사 전문:
항공 마일리지 듬뿍받고 싶다면…
카드사별로 전환비율 천차만별 꼼꼼히 따져야 … 전용카드는 1000원당 1.33마일이 최고

http://news.mk.co.kr/outside/view.php?year=2010&no=389298

기사를 읽어보니, 카드사 각 포인트의 전환율이 중요한 것 같다. 마일리지 카드는 1000원 혹은 1500원에 1마일씩 주니 크게 상관없는 것 같고.
달리기가 주로 사용하는 카드는 기업은행의 Fine Weekend에 아시아나 마일리지를 얹은 것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 외는 제일BC 아시아나, 삼성아시아나 애니패스, 그리고 현대다이너스 카드를 사용하고 있다.

뭐 주로 사용하는 카드를 제외하고는
다이너스 카드는 포인트가 후하기 때문에, 인터넷, 전화요금등을 자동이체시켜서, 포인트를 쌓고 있고(빨리 100,000 포인트를 모으는 것이 중요. 그래야 마일리지 5000점으로 바꿀 수 있다.),
삼성카드는 가족카드로 발급해서, 아시아나 마일리지를 쌓고 있고,
제일은행은 말 그대로 제일 마지막 서브카드로 지갑에 고이고이 모시고 있다.
한 가지 공통점은 아시아나 마일리지를 위해서 카드가 사용된다는 것이다. 물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한다....

기사에도 나와있지만, 마일리지 카드는 아시아나 같은 경우에 1000원에 1마일의 마일리지가 붙는다.
카드 사용량이 그리 많지는 않지만, 그래도 매달 꾸준히 마일리지를 쌓고 있다.

거기에 덤으로 마일리지를 쌓는다고 한다면,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아시아나 마일리지 적립 쇼핑몰 - 샵앤마일즈'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용방법이 좀 복잡하기는 하지만, 나름 습관을 들이면 할 만하다.
순서는 아래와 같다.
1. 샵앤마일즈(http://flyasianaclub.com/Korean/Depo2009/SavingMall/)에 접속한다.
2. 로그인을 통해, 회원임을 증명한다.
3. 메인바탕화면에서 가고 싶은 쇼핑몰을 선택하고, 클릭을 한다.
4. 링크로 이동된 쇼핑몰을 재차 로그인 한다.(참 번거롭다. 로그인을 2번이나 해야 하다니..)
5. 그 이후는 원하는 것을 바구니에 신나게 담는다..(항상 이야기하지만,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
6. 결제창으로 넘어감. 여기서 아시아나 회원 번호를 입력해야 함.
   -> 이 과정을 생략할 시에는 마일리지가 추가적으로 적립이 되질 않음(처음에는 도통 무슨 소리인지 확인하기 어려움.)
7. 결제 수단 확인후, 결제 완료
8. 각 사이트에서 로그아웃 실시(2차례)

좀 번거로운 것은 사실이다. 할 때마다 로그인하랴, 결제할 때, 번호입력 하랴... 로그아웃 하랴...
마일리지를 위해서 좀 참아본다. 그러면 마일리지 카드 사용액에 대한 마일리지 적립과 샵앤마일리지에서 사용한 금액만큼의 마일리지가 적립되기 때문에 최소 1배이상의 많은 마일리지를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환율을 따지게 만드는 현대 M point를 생각한다.
포인트를 회사에서 정한 전환율을 적용한다고 한다. 나에게는 여러 포인트가 있지만, 현재는 5000마일 단위로 교환해 주는 포인트를 100,000점 모으는 것이 목표다. 일단 포인트를 마일리지로 바꾸고 나면, 다른 카드에서 획득한 마일리지와 합해 사용할 것이다.

이제 마일리지를 다 모았다.
그러면 이제 출발을 해야 하는데, 방송에도 여러 번 나오는, 쓰고 싶을 때, 사용하지 못 하는 이런 불편함은 없었으면 좋겠다. 가지고 있는데도 쓰지 못 한다는 것은 차라리 없는 것보다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
글을 포스팅하고 나니, 밑에 관련글이 뜨길래 찾아가봤더니, 오~ 이미 제이슨 님은 엄청난 양의 마일리지 적립방법을 안내해 주셨던데요.
그 곳의 주소는 http://blog.daum.net/jayslee/18120648 입니다.
한 번 가서 읽어보시면 정말 좋은 정보들을 많이 얻을 실 수 있을 겁니다.
Posted by 열심히 달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