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리기는 서울에서 태어났다.
달리기는 춘천에서 6년간 살았다.
달리기는 김포에서 군생활을 했다.(누적수치로 따지면, 몇 천만분의 1 이겠다.)

서울-춘천-김포-춘천-서울
이라는 공간을 거쳤다. 근데, 이게 무슨 문제냐? 언급할 곳이 경기도이기 때문이다.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061499031&intype=1: <- 기사원문 클릭
위 기사는 수도권정책 어디로-릴레이 인터뷰 중 김문수 경기도지사 편이다.

마치 '씨티홀'이라는 드라마가 생각날 만큼 세계요트대회를 배경으로 인터뷰를 했다.
요즘은 해양레져스포츠가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으니까. 그리고 경기도가 야심차게 준비하고 밀고 있는 사업이니까. 이것은 지역경제에 보탬이되는 사업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철책선... 이것이 문제인가보다.
해안철책선.. 이것은 무엇인가? 생각을 하게된다.
단순하게 철망인가? 아니면 해안선을 지키는 선인가? 아니면 경제활동을 막는 선인가?

달리기가 거기 사는 경기도민이었다면 마지막인 경제활동을 막는 선이라고 했겠다. 그러나, 떨어져서 보는 시각은 해안선을 지키는 선으로 보인다.

▼남북이 대치한 상태에서 지역발전을 위해 철책선을 걷어내는 게 최선인가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안보를 버리자는 게 아니죠.철책선을 걷어낸 자리에 열감지시설을 설치하면 됩니다. 최첨단 안보 시스템을 갖추면 안보와 지역발전의 공존이
가능합니다. 예산 지원도 할 용의가 있습니다. 전곡항도 철책선을 걷어낸 뒤 열감지시설을 갖췄습니다. 군사보호시설 구역 해제를 요구하기 전 군사전문가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합니다. 저도 경기도 통합방위협의회 의장을 맡고 있습니다. "(김 지사는 김포대교 신곡 수중보 등을 파주 교하로 옮기면 수위가 낮아져 통일로변 초소도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다)
                                                                           ---기사 중에서

최첨단 안보 시스템...
작년 연천 물난리가 생각나는 것은 개인적인 생각일까요?? 거기도 최첨단 수위측정기가 있지않았나 봅니다. 문제는 그 시스템을 운용하는 사람인거지요.

서해가 뚫리면 어떻게 될 지 참 궁금합니다. ^^; 결과는 뻔하겠지만요.
침투를 확인하는 것은 첨단 시스템만으로도 가능하겠지만... 지연시키거나 저지하는 기능은 첨단시스템이 갖추고 있는지 모르겠네요.

요즘은 바꿨을지 모르겠지만. 예전에 읽은 것 중에서 도둑이 들어가기 가장 힘들어하는 집은 첨단 도어락도 아니고, 가장 단순한 열쇠식 도어락 10개라고 하더군요. 왜 일까요? 열쇠만 넣어서 열면 되는데...

정확하게 알고 있지 않으면, 확율이 2의 10승가 되니까요. 그러면 얼마야? 1024가지의 가능성이 나오나요? 맞추기는 커녕, 날 새겠는데요. 혹, 부셔버리면 되지라고 생각하면, 부셔버리는 시간과 소음으로 걸릴 가능성이 높아져서 시도를 하지 않을 거라고 하던데..

좋을 때는 좋겠지만, 상황이 닥치면 누가 책임을 질 지 궁금합니다.
Posted by 열심히 달리기

있을까? 라고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있었다. 이탈리아 폼페이에 본사를 둔 '레게아'다. 1990년 설립됐단다.
지난 2월 북한대표팀과 2010년 남아공월드컵부터 4년간 400만 유로(약 58억 6000만원)에 후원계약을 채결했다고 한다.

레게아는 이미 유명 대표팀이 계약을 맺지 않은 팀을 주로 계약을 체결했다고 한다.
이번에는 짐바브웨, 몬테네그로, 이란등이 본선에 실패하면서, 이런 기회가 북한으로 갔다고 설명했다고..

사장이 한 얘기는 '비즈니스는 비즈니스', '우리는 정치와 무관한 기업일 뿐' 이라고 설명했다고 한다.

난 이 후원금이 현물로 지급되야지, 현금으로 지급되면, 대표팀에 전달될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한편, 북한에서 중계된 화면은 FIFA에서도 인정한 합법적인 송출이라고 한다.
멋진 비즈니스로 한반도 전역 방송송출권을 가진 한 방송국은 한 번 크게 해보려고 했던 한반도 대상 방송劇을 야심차게 대상을 반으로 줄여야겠다.

FIFA는 정치적이지 않는 조직이라서, 열린 자세로 송출하기로 했다고 한다.
이런줄 알았으면, 우리나라도 셋이 열심히 합쳤으면 더 좋은 결과를 얻지 않았을까?라고 생각이 들었다. 누구는 공짜로 얻어보는데.... 좀 속이 쓰리겠다. 비싼 중계료들여서.. 예상대로 광고수입이 안 나면..

광장에 있는 대형전광판은 상업시설이여서, 거리응원시에도 사용하지 못 한다고 한다. 1회에 1000만원씩 내라고. 그리고 사이에 나오는 광고도 자기네들걸로 채우라고 하니, 전광판 관리회사는 그럴바에는 그냥 우리 광고를 내보내는 것이 좋겠다라고 한다. 나같아도... ㅋ

북한이 오늘 새벽에 브라질과 싸워서 2:1로 졌다고 한다. 북한도 나름 열심히 싸워서 같이 올라갔으면 좋겠다. 이렇게 자주 국제적인 방송이나 환경을 접해야, 그네들도 세계적인 시각을 가질 수 있을 테니까. 죽음의 조라고 불리는 G조를 무사히 통과하길 빌면서...

내일 있을 아르헨티나 전도 기다려봅니다.


Posted by 열심히 달리기
한경에 나온 기사를 보면,
부자학연구학회에서 말하는 부자는 총재산 30-50억원, 현금성 자산 10억을 가지고 있어야 한단다.

간단하다. 쉽고도 어렵다.
스텝1. 지독한 절약
스텝2. 절약을 통해 마련한 자금으로 사업이나 투자를 하는 단계.

그런데, 그 다음이 힘들다.
스텝3. 부를 이루면 종교,사회단체를 통해 기부하고 봉사.

이런 과정을 많이 보인다는 것이다.

떳떳한 부자가 되어서, 많은 이들의 밥상이 된다면 누가 뭐라고 할까?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061400131&intype=1

Posted by 열심히 달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