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09년 8월 15일북섹션


이번에는 사람을 한 번 낚아보려고 했는데, 제대로 낚았는지 모르겠습니다.
달리기가 술을 못 하니, 술맛을 알리는 없고.. 쌓아두었던 신문뭉치들이 마구마구 방출되는 가운데 재미있는 것을 보았으니... 그것은 얼마 전 신문에 나왔던 '우리 나라 맥주는 왜 맛이 없는가?', '우라나라 맥주가 북한 맥주보다 맛이 없는 이유는?' 뭐 이런 식으로 기사가 나왔던 것을 기억을 합니다. 물론 술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달리기로서는 헤드라인만 보고 넘어갔는데. 맥주에 세금이 많고, 만드는 과정 과정에 공수부대도 아니신 분들이 줄줄이 낙하산을 타고 강하해서, 숨어있다는 것을 읽은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12년도 신문에 난 이야기를 꺼꾸로 3년을 거슬러 올라가서 2009년에 이미 하신 분이 있으니, "유럽 맥주 견문록"이라는 책을 쓴 전남대 인류학과 이기중 교수였다.
유럽 맥주 견문록
국내도서>여행
저자 : 이기중
출판 : 즐거운상상 2009.08.12
상세보기
 
이미 맥주 매니아는 왜 우리 맥주가 맛이 없는지 알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아시아 맥주 중에서 하위권에, 병 모양도 일률적이다.. 완전 제대로 지적한 것 같다. 왜 그럴까?? ㅋ

술 종류도 되게 많지만, 여기서는 와인과 맥주로 구분했고, 거기서도 맥주를 나눠서 보여주는 것 같다.
책을 읽어보면 더 자세하게 설명이 나오겠지만, 에일 맥주, 라거 맥주, 스타우트 맥주로 나뉘는 것 같다.
그냥 상표인 줄 알았는데, 분류였네. 이렇게 해서, 맥주의 세계에 반 발짝 들어선 것 같다.

예전에 '마스터 키튼'을 포스팅 할 때 술에 관한 포스팅을 한 적이 있습니다.
이전글: 2011/05/23 - [알아두면 좋을 것 같은...] - 양주 분류법을 알아볼까요?

가서 다시 읽어보니, 술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신문을 보고 정리를 해놓은 것 같네요. 시간을 두고 읽으면 술의 전반적인 내용을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맥주 견문록이 나온 지 3년이 지났으니, 어디에서 찾아읽어야 될 지 확인해봐야할 것 같습니다.
맥주 좋아하는 사람들은 한 번 읽어보면, 자신이 좋아하는 술에 대해서 이야기 거리가 많아질 듯 합니다. ㅎ
이렇게 해서 술과 책의 조합이 이뤄지는군요.

Posted by 열심히 달리기
오래간만에 포스팅을 하게 되었다. 그동안 인터넷을 안 한 것은 아니었지만, 스마트폰으로 카카오 스토리나 트위터, 페이스북을 오가면서, 짧은 소소한 이야기들을 늘어놓으면서, 포스팅하고는 좀 거리가 있었다.

기사제목이 "러시아군 ‘300년 된 발싸개’ 이번엔 퇴출될까" 그냥 봤을 때, 뭐 300년이나 된 골동품이 쓰인다고로 읽힐 수 있겠다.
http://durl.me/4a4nde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569807.html

어떻게 우리 군이 보유한 6.25시절 수통보다 더 오래된 것이 있을 수 있을까라는 호기심으로 기사를 클릭해서 들어가봤다. 물건 자체가 300년이 된 것이 아니라 사용하기 시작한 연수가 그렇게 되었다는 것이었다.
그럼 그 발싸개가 어떻게 쓰이는 것인가는 아래 그림을 보면 알 수 있겠다.

뭐, 그렇다. 아기를 강포에 싸듯이 발을 감싸고, 전투화를 신는 것이다.
문제는 이 발싸개 자체가 나쁘다는 것이 아니라, 요즘같은 시대에 정규군에서 양말을 신지 못 한다는 사실 자체에 놀라는 것 같다.
없으면 살기 위해서 발싸개를 사용하는 것이 문제일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놀란 러시아 국방부 장관은 이 발싸개를 없애라고 얘기했다고 하는데... 거대한 조직에서 보급이라는 것이 그리 쉽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말단 조직까지 얼마나 시간이 걸리려나..?
어찌보면 양말보다 이 발싸개가 발에 난 땀을 잘 흡수하고, 손 쉽게 빨래해서 말릴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이 발싸개는 많은 사람들이 말하듯이 '거지 발싸개'가 아니고, 야외에서 아주 훌륭한 발의 수호자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전에도 언급했던 2가지 서바이벌 책을 찾아본 결과, 비슷한 것들은 극지에서 발의 온도를 지키는 데, 큰 역활을 함을 알 수 있다.
2010/12/26 - [책] - 서바이벌 관련 도서를 모아봤습니다.
2010/12/25 - [책] - S.U.R.V.I.V.A.L - 생존이라는 영어단어의 속에 숨겨져 있는 의미를 확인해보기


서바이벌 매뉴얼,한국등산연구소평화출판사 간.

서바이벌-조난에서의 생존법손경석 편, 서문당


추운 겨울, 새벽에 나갈 때 신던 축축한 방한화가 생각이 난다. 아마 쓸 수 있으면, 이 발싸개를 써서, 발을 감싸서 발이 눅눅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발싸개는 결코 우습게 볼 것이 아닌데, 러시아군이 너무 사랑한 나머지 오명을 쓰게 된 것 같다.
아는 만큼만 보이나보다. 모르는 부분에 대해서는 언급을 할 수 없느니 말이다.

여러 권의 서발이벌 도서 중, 'SAS 서바이벌-도시에서 살아남기'는 도무지 어떻게 적용을 해야 할 지... 두꺼운 책은 베개로 써야 하는지??

하여간 발싸개를 우습게 보지 말자고요. ㅎ

Posted by 열심히 달리기

2013. 1. 9. 12:43 diary

방문객 136000명


'dia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문객 138000명  (0) 2013.01.21
137000명, 1월 16일로 예상.  (0) 2013.01.18
방문객 135000명  (0) 2013.01.02
방문객 134000명  (0) 2012.12.23
방문객 133000명  (0) 2012.12.15
Posted by 열심히 달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