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차, 바닷물은 짜고 민물은 심심하다.
9일차
海 |
醎 |
河 |
淡 |
바다 해 |
짤 함 |
물 하 |
맑을 담 |
鱗 |
潛 |
羽 |
翔 |
비늘 린 |
잠길 잠 |
깃 우 |
날 상 |
海는 醎하고 河는 淡하며, 鱗은 潛하고 羽은 翔하니라.
바닷물은 짜고 민물은 심심하며,
비늘 달린 물고기들은 물속 깊이 잠기고 깃털 달린 새들은 날아다닌다.
금생여수(金生麗水)에서 인잠우상(鱗潛羽翔)까지는- 산과 바다와 냇물에는 금·옥·실과·채소·새·물고기가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으니, 지도(地道) 곧 땅 위의 큰 일을 나타내고 있음.
여기까지 ‘천지(天地)’에 관한 이야기가 끝났음.
--------------------------------------------------
말그대로 1000글자를 8로 나누면 125일만에 천자문을 볼 수 있다는 것인데, 그 중 앞 9일동안 하늘과 땅에 관한 이야기가 끝났다고 합니다. 앞으로 어떤 이야기가 나올지 궁금합니다.
살짝 뒷장을 보니 사람에 관한 이야기가 나온다고 합니다.
흥미진진해집니다.
이 책이 초판이 2004년 1월 12일에 나왔는데, 10여년이 흐른 지금 많은 것들이 바뀐 것 같은데, 지구를 봤을 때는 그리 크게 나아진 것도 없어보입니다.
글쓴이는 <남은 시간이 많지 않다>라는 소제목으로 글을 붙였는데, 읽어보면 수긍이 갑니다.
각 생물들은 자기가 살아갈 환경이 있는데, 인간들이 파괴를 한다는 거지요. 물론 환경은 파괴된 만큼 복구력을 가지고 복구를 한다고 하는데, 시간도 걸리고, 복구할 수 없을만큼 무너져 버리면, 그곳은 영영 복구될 수 없는 것 같습니다.
김성동 천자문 27쪽
'남은 시간이 많지 않다'에서 발췌
환경이 바뀜에 따라 생물들도 서식지가 바뀌고, 어획량 등이 바뀌는 현상이 차례로 나타나는가 봅니다.
앞으로 어떤 이야기들이 이 천자문에서 나올 지는 알 수 없지만, 재미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