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비 블로그에 놀러갔다가 발견한 철학성향 테스트.

http://greenbee.co.kr/board/board_view.php?category=3&article_id=1303


나의 성향은 어떨까?라는 궁금증과 옆에 나와있는 철학자들만 철학을 하는 ***한 세상에 나도 끼어보고자 테스트를 해봤다.
비슷하다고 생각이 된다. 이런 식으로 나의 성향을 찾아가는구나.
요즘 점점 재미있는 것들을 인터넷에서 많이 찾아내는 것 같다.


예의바른 조력가
| 유세가, 정책가, 성리학, 유학
이 타입의 사람들은 '배우고, 때때로 익힌다'. 또 '먼 곳에서 찾아온 벗과 즐거운 시간을 보내'기도 한다. 천하에 '인'이 있다면, 어떤 다툼도 일어나지 않으리라 믿는다.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것에 가치를 두는 이 부류의 사람들은 군주와 신하, 왕과 백성, 부모와 자식, 남편과 아내 등, 온갖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중시한다. 그렇기 때문에 본인 자신도 인의예지의 덕목을 두루 갖추고 있는 경우가 많다. 주의 할 것은 '고루하다'는 세설에 휘말릴 가능성도 높다는 점이다. 이 타입의 동양사상가는? = 공자, 맹자, 주희, 정약용
『철학 vs 철학』에서는?
1장 진정한 사랑이란 무엇인가? 공자와 묵자
8장 인간의 본성은 선한가? 맹자와 순자
18장 세계를 지배하는 원리는 무엇인가? 장재와 주희
19장 인간을 초월한 이치[理]는 존재하는가? 육구연과 주희
20장 이치[理]는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가? 주희와 왕수인
공자
주윤발이 공자역을 맡은 영화까지 나올 참이다.(<공자-춘추전국시대> 2.11개봉) 그만큼 동아시아 사람들에게 공자가 미친 영향이란 측정이 불가능할 만큼 지대하다. 하다못해 집안 제사를 모실 때도 직·간접적으로 그의 사상에 영향을 받고 있으니까 말이다.
수백명의 제자를 이끌고 중원천하를 돌아다니긴 했지만, 그리고 세계 몇 대 성인을 뽑을 때마다 들어가는 거물이기는 하지만, 심지어 사마천의 『사기』에서도 '열전'이 아니라 '세가'편에 들어가 있기는 하지만, 그는 군주에게 '조언'을 하며 자신의 뜻을 펼칠 기회를 엿보던 유세가 또는 조력가였다.
공자의 문제의식은 아주 단순하다. 그가 살았던 시기(춘추시대), 중원은 주나라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던 봉건제가 붕괴 직전에 있었고, 천하의 '법도'라는 것은 사라진 지 오래였다. 그러한 조건에서 그는 전통의 복원, 인仁한 마음의 복원을 문제 삼았던 것이다. 살아생전 그의 뜻을 따랐던 군주는 없었지만, 죽어서 수천년 동안 동아시아의 정신세계를 지배한 그 사유의 힘에 대해 고민해 볼 필요는 분명히 있겠다!
[관련된 책]
맹자
맹자하면 왕도정치, 왕도정치하면 맹자가 떠오를 만큼 그의 이름은 '왕도정치'와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다. 공자와 비슷한 사유의 궤적을 그렸지만 그의 이론이 공자보다 훨씬 더 실제적이었던 이유는 그가 살았던 시대가 혼란이 더욱 심화된 전국시대였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맹모삼천지교의 전설이 진짜였는지 거짓이었는지는 모를 일이지만, 그는 인간의 본성을 선하다 여기고 이 본성을 어떻게 잘 발현시킬 수 있는지에 관심을 기울였다.
왕 앞에서 유세를 할 때에도 거침없기로 유명했던 그는 백성을 돌보지 않는 왕은 왕이 아니라 한낱 필부일 뿐이라고 일갈하기도 한다. '예의바른 조력가'란 다른 것이 아니다! 지금 그 사람에게 가장 적합한 말을 가장 강력하게 사람이다! 그런 점에서 볼 때 맹자는 가장 독보적이었다고 할까?
[관련된 책]
주희
이 이름 덕에 눈물을 흘린 사람이 얼마나 많았던가? 조선시대를 다룬 사극에서 '선비'로 나오는 이들 모두가 주희의 제자들이다. 흔히 조선의 국가이념으로 취급되곤 하는 '유학'은 정확하게는 주희에 의해 집대성된 '성리학'인 것이다. 이 이론을 토대로 각종 제사, 사회적 관습, 정치제도까지 거의 모든 체제가 재구성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주희는 중국 송나라 시대의 사람으로, 불교의 이론들을 받아들이고 전통적인 유학과 선배였던 주돈이, 장재, 정이, 정호 등의 이론을 종합하여 거대한 체계를 세운 인물이다. 유학의 전통에서는 보기 드물게 깊은 사변과 존재론적 논의까지 포괄하는 이론인 '성리학'을 수립한 것이다.
[관련된 책]
  • 인설주희 지음 | 임헌규 옮김 | 책세상
  • 사대부의 시대고지마 쓰요시 지음 | 신현승 옮김 | 동아시아
  • 인간 주자미우라 쿠니오 지음 | 김영식, 이승연 옮김 | 창비(창작과비평사)
  • 대학·중용주희 지음 | 김미영 옮김 | 홍익출판사
  • 소학주희 지음 | 윤호창 옮김 | 홍익출판사
정약용
정약용을 주인공으로 다룬 드라마까지 나온 마당에 정약용에 대해 더 설명할 것이 있겠는가 싶기도 하다. 인터넷 서점 검색창에 '정약용'을 키워드로 검색만 해도 그에 관한 책이 수십종은 나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약용이 이 부류에 속한 이유는 밝혀야 하지 않겠는가?
정약용은 잘 아는 바와 같이 정조와 각별한 관계에 있었던 사람이다. 정치적인 야심 또한 강한 편이었고 그것이 정약용의 인생에 아주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던 것도 사실이다. 다시 말해 그는 정치적으로는 유능하지만 불운했던 조언가였던 셈이다.
그는 철학적으로 주희가 성립한 성리학에서 '이理'를 우선으로 보는 관점을 비판하고, 이理와 기氣의 관계를 뒤바꾸려 했다. 그래서일까? 그는 일평생 역사·지리·법률·축성 등등 백성의 생활과 직결된 제도·문물 전반을 개혁하고자 노력했다.
[관련된 책]


그린비 블로그에서 실시하는 철학성향 테스트를 해봤다. 놀라웠다.
이번에는 동양철학을 해봤는데, 다음 번에는 서양철학을 해봐야겠다.

다음은 이벤트 플래시. 꾸욱~ 눌러주세요. 해보시면 아주 흥미로운 세상이 펼쳐질 껍니다.


Posted by 열심히 달리기